“2천만 원짜리 헤드폰? 에르메스가 만든 초럭셔리 오디오의 정체”
에르메스가 헤드폰을 만들었다? 가격은 무려 2천만 원… 명품 오디오 시대 열린다
“가방도 만들고, 시계도 만들고, 이젠 헤드폰까지?” 프랑스 럭셔리 브랜드 에르메스(Hermès)가 2025년 5월, 브랜드 역사상 처음으로 자체 제작한 럭셔리 헤드폰을 공개했습니다. 가격은 약 2천만 원. 명품 오디오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릴 것이라는 신호탄이기도 하죠.

이 헤드폰은 에르메스의 하이엔드 맞춤 부서인 ‘아틀리에 오리종(Ateliers Horizons)’에서 2년 간의 기획과 개발 과정을 거쳐 탄생했습니다. 대량 생산이 아닌 수작업을 통한 소량 한정 제작이며, 오디오 애호가는 물론이고 하이엔드 소비자층, 예술 컬렉터들의 관심도 집중되고 있습니다.
명품이 만든 오디오, 단순히 소리만의 문제가 아니다
에르메스가 헤드폰을 만든다고 했을 때, 많은 사람들은 ‘왜?’라는 의문부터 가졌습니다. 하지만 이 헤드폰은 단순한 오디오 기기가 아닙니다. 오히려 그 자체로 예술품이라 불릴 만큼 고급 가죽, 장인의 손길, 디자인 디테일, 감성적인 사용자 경험까지 모두 담겨 있죠.
디자인은 에르메스의 아이코닉한 제품인 ‘켈리 백(Kelly Bag)’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헤드밴드와 이어컵에는 최고급 소가죽이 사용되었고, 이음새 부분에는 에르메스 특유의 수공예 스티칭이 적용되었습니다. 금속 프레임은 황동과 니켈의 조합으로 광택을 살리면서도 내구성을 확보했습니다.
사용자는 초콜릿 브라운, 프러시안 블루, 모카, 에토프 등 에르메스 특유의 가죽 색상 옵션 중 선택할 수 있으며, 각 제품은 주문 제작 형식으로 생산됩니다.
스펙? 정확한 스펙보다 더 중요한 ‘소유의 가치’
공개된 사양은 많지 않지만, 무선 블루투스 연결 및 유선 연결 모두 가능하며, 조작은 물리적 버튼으로 이뤄진다고 알려졌습니다. 현재 기준으로 노이즈 캔슬링, 배터리 수명, 드라이버 사이즈 등 오디오 중심의 기술 스펙은 의도적으로 상세히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이유는 명확합니다. 에르메스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이건 기술이 아니라, 소유 그 자체가 프리미엄이다.” 기술보다는 정체성, 장인의 손길, 브랜드 유산에 집중한 셈입니다.
가격은 2천만 원대, 진입장벽이 높은 만큼 브랜드 가치도 상승
공식 판매 가격은 약 15,000달러(한화 약 2천만 원)입니다. 2025년 여름부터 파리, 도쿄, 뉴욕 등 일부 에르메스 플래그십 스토어에서만 소량 판매될 예정이며, 온라인 구매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한정 수량으로만 제작되는 만큼, 제품 구매 자체가 하나의 자격처럼 여겨질 수 있습니다. 이 점은 리셀 가치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며, 이미 일부 하이엔드 오디오 컬렉터 커뮤니티에서는 “하이엔드 아트피스”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에르메스의 전략, 오디오 시장을 노린 것일까?
에르메스가 왜 헤드폰을 만들었는지는 단순한 호기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닙니다. 최근 몇 년 간, 루이비통, 프라다, 몽클레르 등 패션 브랜드들이 기술 기반 제품과 협업을 시도하면서 명품 브랜드들도 테크와의 융합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에르메스 역시 ‘기능성’보다는 ‘브랜드 유산과 기술적 정체성의 융합’을 시도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단순히 소리를 듣기 위한 도구가 아닌, ‘에르메스다운 청각 경험’을 창출하려는 전략인 것이죠.
결론: 이건 사운드가 아닌, 철학을 듣는 헤드폰
에르메스 헤드폰은 기능 위주의 일반 헤드폰과는 전혀 다른 카테고리에 존재합니다. 이 제품을 통해 에르메스는 새로운 메시지를 던집니다. “기술도, 예술이 될 수 있다.”
만약 당신이 음악을 소비하는 사람이라면 이 헤드폰은 지나치게 비쌀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리를 ‘소유’하려는 사람, 예술을 ‘몸으로 경험’하려는 사람에게는 하나의 문화적 오브제가 될 수 있습니다.
하이엔드 오디오 시장의 미래가 기술과 럭셔리의 결합 속에서 어떻게 진화할지, 에르메스의 이번 헤드폰이 그 방향을 제시해줄지도 모릅니다. 분명한 건, “에르메스가 만든 헤드폰은 그냥 헤드폰이 아니라는 것”입니다.